Blockchain/개념원리

DeFi란 무엇인가? 금융 시스템 붕괴와 제도권 안착의 기로에 서다

DevMonster 2022. 1. 6. 03:56
반응형

수년 전 블록체인을 공부하면서 이런 생각을 했다.

 

"블록체인은 탈중앙화(decentralized)를 지향해 유토피아(utopia)에 다가서는 기술이지 않을까?
모든 정보를 분산화 해서 나눠 갖고 공평한 조건으로 거래를 하면 정말 좋겠다.
하지만, 부를 갖고 있는 기득권층은 공평함과 탈중앙화를 원할까?
정보의 불균형이 있어야 부자들이 부를 더 쌓을 수 있을텐데?

그러면 블록체인은 현실에 적용될 수 있을까? 불가능할 것 같다.."

 

부정적인 시선이 DeFi로 인해 최근 180도 바뀌었다.

오히려 블록체인이 기득권의 틀을 깨부수는 방아쇠가 DeFi라고 생각한다.

 

DeFi란 무엇인가?

DeFi는 Decentralized Finance의 줄임말로 탈중앙화 금융을 뜻한다.

금융을 중개해주는 정부, 은행 그리고 증권사 등의 역할이 없어지는 것이다.

블록체인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이용해 중개자를 거치지 않고,

코드화된 룰에 따라 개인 간 모든 종류의 거래를 할 수 있다.

이 코드는 모두에게 공개되어 있어 언제 어디서든 열람이 가능하다.

즉, 동등하고 공평한 조건으로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무엇이 장점일까?

당신이 해외에 있는 지인에게 외화를 송금한다고 가정하자.

은행을 통해 환전하고 송금을 해야 한다.

환전과 송금 수수료가 들고 추가적인 본인 인증 절차를 필요로 한다.

 

DeFi를 이용할 경우 내 전자지갑에서 지인의 지갑으로 바로 송금하면 끝이다.

수수료는 있겠지만 은행을 이용한 것보다는 현저히 적고 인증 절차도 간편하다.

시간과 비용 모두 절약이 가능하다.

또, 베네수엘라처럼 극심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화폐가치가 하락할 때,

DeFi에서 안정적인 기축통화로 환전해 내 자산을 지킬 수 있다.

 

그리고 이 모든 과정이 익명으로 이뤄진다.

 

DeFi가 가져올 미래

앞에서 이야기한 내용을 포함해 활용점을 리스트업 했다.

  • 장벽없는 빠르고 편리한 거래
  • 익명성과 탈중앙화를 통한 중앙정부 개입 차단
  • 투명하고 다양한 금융 서비스 이용

 

[장벽없는 빠르고 편리한 거래]

암호화폐 지갑 하나만 있다면, 계좌개설, 공인인증서 발급, 본인인증, OTP 확인 등의 프로세스는 사라진다.

국가 장벽이나 시간 제약 없이 거래가 가능한 것은 큰 장점이다.

 

[익명성을 통한 중앙정부 개입 차단]

암호화폐 지갑을 만드는 데는 개인 정보나 본인인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자금추적, 세무조사 등의 다양한 정부개입을 막을 수 있다.

또, 기준금리,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 사이드 카(Side car), 입출금 동결 등의 인위적인 개입없이 자유시장경제에 맡길 수 있다. (* 물론 긍정적인 부분만 있는 것은 아니다.)

 

[투명하고 다양한 금융 서비스 이용]

탈중앙화 거래소(DEX)에 암호화폐를 예치할 수 있다. 예치 수익률은 은행의 금리보다 훨씬 높다.

세금, 은행 운영비 등이 없기 때문이다. 예치 수익은 어디서 오는 걸까?

이를 이해하기 위해 Stable coin을 설명하겠다.

Stable coin은 가치가 변하지 않고 안정된 코인을 뜻한다.

그 중 대표적인 코인이 테더(USDT)라는 암호화폐다. 1 USDT는 항상 1$로 교환할 수 있다.

현실과 암호화폐 시장을 연결해주는 기축통화인 셈이다.

 

A가 100 USDT를 탈중앙화 거래소(DEX)에 예치한다고 가정하자.

B가 1 비트코인을 예치하고, 그것을 담보로 100 USDT를 대출하고자 한다.

탈중화 거래소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해 100 USDT보다 가치가 큰 1 비트코인을 담보로 묶는다.

B는 A가 예치한 100 USDT를 대출하고 이자를 지급한다.

이를 이용하면, A는 이자 수익을 B는 1 비트코인의 자금을 묶어두고 100 USDT 만큼의 추가 자금을 확보한다.

A와 B 이외에 많은 사람들이 각종 암호화폐들을 예치한 만큼 대출이나 다른 금융상품을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예치하는 행위를 "유동성을 제공한다." 라고도 표현한다.

유동성을 제공한 만큼 수수료를 받는 구조이다.

 

예치와 대출말고도 도박, 증권거래, 자산의 NFT(Non-Fungible Token)화를 통한 투자 거래 등이 모두 가능하다.

현재 우리가 금융으로 할 수 있는 것들 모두 된다.

 

DeFi 유의점

항상 모든 것이 완벽할 수는 없다.

중앙정부에 개입이 없으므로 금융사고나 암호화폐 지갑 분실 등의 문제의 책임은 사용자 본인에게 있다.

또, 탈중앙화 거래소의 불완전한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 등을 이용한 해킹에도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다.

 

이런 점들만 유의한다면 긍정적인 요소가 많아 보인다.

 

DeFi로 인해 금융 시스템이 붕괴할까? 우리나라에서는 어떻게 될까?

돈이 시장에 돌아야 경제가 활성화 되는 것은 모두 알 것이다.

자금이 돌아야 세금도 걷고, 예금을 해야 그 돈으로 기업들도 대출해 투자를 할 것이다.

하지만, 여유자금이 은행으로 안 가고 DeFi로 모두 흘러들어간다면?

경제가 망가지고 금융 시스템이 붕괴될 것이다. DeFi라는 새로운 흐름을 막을 수 없다.

그래서 중앙정부는 금융 시스템의 붕괴가 아닌 제도권 안으로 편승시키려 하지 않을까?

그 일환으로 정부는 암호화폐 실명제를 대책으로 내놓았다.

실명제를 통해  징세하고 중앙정부에서 관리 감독할 수 있는 토대를 쌓은 것이다.

(물론, 해외 거래소나 오프라인 거래소들이 있기에 완벽하게 제도권 안으로 넣을 수 없다.)

 

정부에서 2023년 부터 암호화폐에 과세방안을 추진중이다.

암호화폐를 제도권 안으로 넣기 위한 정부의 노력과 탈중앙화를 지향하는 무리들 간의 대립을 주목해 보자.

728x90
반응형